Price-to-Earning Ratio (P/E Ratio)
주가 수익 비율
어떤 회사의 가치를 평가할 때,
주당 순이익 대비 주식 가격의 비율로 측정하는 지표
다른말로 price multiple, earning multiple
투자자들은 동일 산업군 내 회사들의
상대적 가치를 1:1 로 비교하거나
특정 회사의 현재와 과거, 미래 가치를
비교하고자 할 때 사용함
P/E Ratio 가 높으면 회사가 고평가 되어있거나,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회사가 수익이 없는 경우
P/E Ratio 는 산출할 수 없음 N/A 임
(분모가 0 이 될테니..)
2가지 P/E Ratio 를 사용함
trailing P/E (과거 12개월 기준)
forward P/E (향후 전망치)
(참고) 해외 사이트를 보면 과거 12개월을 TTM (Trailing Tweleve Month 라고 표기하기도 함)
공식 =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
Forward P/E Ratio
회사에서 발표하는 미래 수익 가이던스 (furutre
earning guidance) 를 기반으로 산출함
다만, 본질적인 한계가 존재하는데 회사가 향후
실적을 가이던스보다 초과 달성해서 earning
surprise 를 보여주고자 하면 가이던스를 낮게
제시할 수도 있고, 예상되는 실적이 너무 낮아서
가이던스를 높게 제시해서 현재 주가/투자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왜곡될 수 있음
또한 외부 애널리스트 역시 개인적인 전망을 하는
것이므로 가이던스에 오류, 혼란이 있을 수 있음
Trailing P/E Ratio 는 과거 실적에 기반한 지표
신뢰할 수 있으나 과거 숫자를 가지고 기업의
미래 가치를 가늠하기에는한계가 있음
P/E 를 통한 가치 평가
아주 단순하게 보면 투자자 입장에서
얼마의 수익 (Earning) 을 얻기 위해 얼마까지
(Price) 지불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보면 됨
예를 들면, 20x 의 P/E Ratio 를 가진 기업
$1의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자는 $20을 투자
투자자의 기대치
일반적으로 높은 P/E 기업은 낮은 P/E 기업 대비
미래 가치가 높다고 보고 있음
낮은 P/E 는 기업이 저평가 되어 있거나, 과거 대비
현재 예상외로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
출처: https://www.investopedia.com/terms/p/price-earningsratio.asp
'투자 공부 > 기업 가치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 EBITDA 및 PER (P/E Ratio) 를 사용해서 회사 평가하기 (0) | 2020.11.08 |
---|---|
기업 가치 (EV: Enterprise Value) 란 무엇일까요? (0) | 2020.11.06 |
"넓은 경제적 해자" 란 무엇일까요? Wide Economic Moat (0) | 2020.11.05 |
"좁은 경제적 해자" 란 무엇일까요? (0) | 2020.11.04 |
경제적 해자(Ecomonic Moat) 는 무엇일까요? (0) | 2020.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