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ICT(Inner Circle Trader) 투자 전략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오더 블록(Order Block, OB)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OB는 ICT 전략에서 성공적인 매매를 위한 필수 요소로, 시장의 큰손(스마트 머니)의 흔적을 찾아내는 열쇠입니다. 이 글을 통해 OB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법까지 명확히 이해하고, 여러분의 투자 전략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
1. 오더 블록(OB)이란?
오더 블록은 시장에서 큰 플레이어(기관, 스마트 머니)가 대량의 주문을 넣거나 청산한 가격 구간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강력한 지지/저항 구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OB는 단순히 기존의 매물대와는 다릅니다. 왜냐? OB는 스마트 머니의 의도가 담긴 구간이기 때문이죠
- 상승 OB(Bullish Order Block): 하락 후 강한 상승이 시작되기 직전의 음봉 캔들로, 스마트 머니가 매수 주문을 집중적으로 넣은 구간.
- 하락 OB(Bearish Order Block): 상승 후 하락이 시작되기 직전의 양봉 캔들로, 스마트 머니가 매도 주문을 쌓은 구간.
OB는 시장 구조에서 지지(Ser)와 저항(Res) 역할을 하며, 가격이 이 구간에 재방문했을 때 강한 반응(반등 또는 하락)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OB는 마치 시장의 "비밀 기지"와 같아요. 스마트 머니가 몰래 숨어서 대량 매매를 준비한 곳이죠. 이 기지를 찾아내면, 우리는 그들의 전략에 편승할 수 있습니다! 😎
2. OB의 특징과 식별 방법
OB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특징과 차트에서 찾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OB를 식별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1) OB의 구조적 특징
- 장악형 캔들: OB는 보통 크고 강한 캔들로 나타납니다. 이는 스마트 머니가 대량 주문을 실행하며 시장을 움직인 흔적입니다.
- 시장 구조 전환 직전: OB는 시장의 추세가 바뀌기 직전(예: 상승 → 하락, 하락 → 상승)에 형성됩니다. 즉, Break of Structure(BOS)나 Change of Character(CHoCH)와 연계됩니다.
- 유동성 스윕(Liquidity Sweep): OB는 종종 손절매 주문이 몰린 구간(유동성)을 흡수한 후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상승 OB는 직전 저점을 뚫고 내려갔다가 반등하는 경우가 많죠.
(2) 차트에서 OB 찾는 법
- 시장 구조 분석: 먼저 차트에서 고점(HH/HL)과 저점(LH/LL)을 확인하세요. 상승 추세라면 더 높은 고점(HH)과 더 높은 저점(HL)을, 하락 추세라면 더 낮은 고점(LH)과 더 낮은 저점(LL)을 찾습니다.
- 추세 전환 지점 탐색: BOS(구조 돌파) 또는 CHoCH(추세 전환)가 발생한 구간을 찾습니다.
- OB 캔들 식별:
- 상승 OB: 하락 직전의 마지막 음봉 캔들. 이 캔들은 스마트 머니가 매수 주문을 쌓은 구간입니다.
- 하락 OB: 상승 직전의 마지막 양봉 캔들. 이 캔들은 매도 주문이 집중된 구간입니다.
- 지지/저항 테스트 확인: OB 구간은 가격이 재방문했을 때 강한 반응(지지/저항)을 보입니다.
- 꿀팁: 4시간봉(H4) 또는 1시간봉(H1)에서 OB를 식별하면 더 명확한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분봉 같은 작은 타임프레임은 노이즈가 많으니 주의하세요
3. OB를 활용한 실전 매매 전략
이제 OB를 찾았으니, 어떻게 매매에 활용할까요? OB는 진입/청산 포인트를 잡는 데 최적의 도구입니다. 아래는 OB 기반 매매 전략입니다:
(1) 상승 OB 매수 전략
- 조건: 가격이 상승 OB 구간(지지 구간)에 재방문하여 반등 신호를 보일 때.
- 진입: OB 캔들의 고점(High)에 매수 주문을 설정. OB 상단에서 가격이 반응하면 매수 진입.
- 손절(SL): OB 캔들의 저점(Low) 아래로 설정. 보통 5~10핍 정도 여유를 둡니다.
- 익절(TP): 직전 고점(HH) 또는 FVG(Fair Value Gap) 상단을 목표로 설정.
- 추가 팁: OB와 FVG가 겹치거나, Killzone(뉴욕/런던 개장 시간)에 진입 시 신호가 더 강력합니다.
(2) 하락 OB 매도 전략
- 조건: 가격이 하락 OB 구간(저항 구간)에 재방문하여 하락 신호를 보일 때.
- 진입: OB 캔들의 저점(Low)에 매도 주문을 설정. OB 하단에서 가격이 반응하면 매도 진입.
- 손절(SL): OB 캔들의 고점(High) 위로 설정.
- 익절(TP): 직전 저점(LL) 또는 FVG 하단을 목표.
- 추가 팁: 거래량 급등(Volume Spike)이나 OB 재테스트가 동반되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3) OB와 결합된 패턴: Unicorn Model
- Unicorn Model: OB와 FVG가 겹치고, 브레이커 블록(Breaker Block)이 함께 나타나는 고확률 패턴. 통계적으로 약 80% 승률을 자랑합니다.
- 활용법: 상승 OB와 FVG가 겹친 구간에서 매수, 하락 OB와 FVG가 겹친 구간에서 매도. 무효화 지점(예: OB 저점 하향 돌파)을 명확히 설정하세요.
- 예시: 나스닥 선물(NQH2025) 차트에서 상승 OB를 발견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가격이 OB 구간(지지)에 재방문하며 강한 양봉 캔들이 나타난다면, OB 고점에서 매수 진입, 손절은 OB 저점 아래, 익절은 직전 고점(HH)으로 설정합니다.
4. OB 매매 시 주의점
OB는 강력한 도구지만, 맹목적으로 따라가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OB 매매 시 꼭 기억해야 할 점들입니다:
- 컨텍스트 중요: OB 단독으로 매매하지 말고, 시장 구조(BOS, CHoCH), 유동성 스윕, FVG 등과 함께 분석하세요.
- 타임프레임 고려: OB는 고시간봉(4H, 1H)에서 더 신뢰도가 높습니다. 낮은 타임프레임에서는 페이크 신호가 많아질 수 있어요.
- 리스크 관리: OB 매매도 100% 성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항상 손절(SL)을 설정하고, 리스크:리워드 비율(1:2 이상)을 유지하세요.
- 유동성 확인: OB가 유동성 스윕(손절매 구간 흡수) 후 형성되었다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연습 필수: 데모 계정에서 OB 전략을 연습하고, 백테스팅으로 승률을 검증하세요.
5. OB와 ICT 전략의 시너지
OB는 ICT 전략의 여러 요소와 결합할 때 진가를 발휘합니다:
- 유동성(Liquidity): OB는 유동성 스윕 후 형성되므로, 손절 구간이나 대기 주문 밀집 구간을 함께 분석하세요.
- 시장 구조(Market Structure): BOS와 CHoCH를 통해 OB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면, 추세 전환을 예측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FVG(Fair Value Gap): OB와 FVG가 겹치면 고확률 진입 기회가 됩니다.
- Killzone: 런던/뉴욕 개장 시간대에 OB 신호가 나타나면 신뢰도가 올라갑니다.
'투자 공부 > 차트 기술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투자 전략: FPFVG 이란? (1) | 2025.06.24 |
---|---|
십자, 도지, 비석 캔들: 정의와 의미 (2) | 2025.06.22 |
### 블랙스완 밀도란?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 🚨 (4) | 2025.06.14 |
2025년 주식 투자 필수 가이드: 50일 EMA로 시장을 장악하라! (6) | 2025.06.11 |
채널 패턴: 주식 거래의 숨겨진 보물 찾기! 📈 (3) | 2025.06.06 |
댓글